본문 바로가기

금리인상10

은행별 정기예금 금리비교, 정기예금 추천, 정기예금 금리 순위에 대해 알아보자. 올초 떨어졌던 은행들의 예금금리가 다시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이달 저축은행의 평균 예금금리는 12개월 기준 연 4.01%로 지난 4월부터 꾸준히 오르고 있는데 이는 저축은행만 국한된 현상이 아니라 1 금융권에서도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올 1분기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도 저축은행들이 잇따라 예금금리를 올리고 있는 것은, 지난해 팔았던 고금리 예금의 만기가 곧 도래해 고객들을 더 유치함으로써 유동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으로 보인다. 치열한 금리 경쟁으로 연 6%대 상품까지 등장하면서, 저축은행권의 유동성 비율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늘은 예금 금리를 기간별, 은행별 비교 및 예금금리 비교하는 법, 예금 금리순위, 예금 추천등을 다뤄보는 포스팅.. 2023. 7. 22.
마지막 금리인상? 금리인하는 시기상조? 파월의 말말말 미국 중앙은행(Fed)이 3일(현지시간) 수요일에 열린 FOMC회의에서 기준금리를 25bp를 인상시켰다. 이번 조치는 시장이 예상한 것처럼 4,75%에서 5%로 인상된 것으로 시장이 예상했던 베이비스텝이었다. 월가에선 이번 금리인상을 마지막으로 Fed가 향후 금리 동결 내지는 금리인하로 돌아설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었다. 이날 금리인상 결정직후 발표한 통화정책결정문에서는 "충분한 제약적 통화정책 기조를 달성하기 위해 일부 추가적인 정책 확인이 필요할 수 있다"는 문구가 삭제됐다. 이르면 다음 FOMC회의에서부터 금리가 동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 주식시장은 크게 반등하였다. 하지만 이후 이어진 질의응답 회견에서 제롬파월 Fed의장의 발언이 있고 나서 시장은 다시 곤두박질쳤다. 파월의장은 시.. 2023. 5. 4.
한국은행 드디어 기준금리를 동결하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23일 중구 한은에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종전 수준인 연 3.5%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은은 2021년 8월 금리정책 정상화를 선언하고 1년 반 동안 3.0% 포인트 금리를 올렸다. 금통위는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국내 경제의 성장률이 낮아지겠지만 물가가 목표 수준을 상회하는 높은 오름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고, 정책 여건의 불확실성도 높은 만큼 긴축 기조를 상당기간 이어가면서 추가 인상 필요성을 판단해 나갈 필요가 있다"라고 밝혔다. 한은이 금리 동결을 선택한 것은 '물가 경로상의 불확실성'이 크고, 그동안 가파르게 금리를 올린 만큼 이제는 그 효과를 봐가며 추가 인상 여부를 판단해도 된다고 봤기 때문이다. 한은은 다음달부터는 소비자물가 상.. 2023. 2. 23.
당당하게 금리인하 요구하자! 금리인하요구권 어떻게 바뀌나? 앞으로 금리인하 요구 소비자 안내가 강화되고 관련된 금융기관 비교공시도 세분화되고 강화된다. 고금리로 금리인하요구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금융당국이 제도 보안에 나선다. 낮은 수용율로 유명무실하다는 비판을 받아 온 금리인하요구권 제도가 실효성이 높아질지 주목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금리인하요구권에 대한 소비자 안내를 강화하고, 금융회사의 금리 인하 실적 공시를 개선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금리인하요구제도 실효성 제고방안'을 시행한다고 9일 밝혔다. 금리인하요구권이란 개인이나 기업이 금융회사로부터 대출을 받은 다음 신용상태나 상환능력이 대출 당시보다 크게 개선되는 경우 금융회사에 대출금리 인하를 요구할 수 있는 제도로, 금융 소비자의 법적인 권리로 명시되어 있다. 금리인하요구권은 시중은행은 물론.. 2023. 2. 9.